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김학의 사건과 故 장자연 씨 사건의 공통점과 차이점

current affairs/사회

by Mr. Kim_ 2019. 5. 24. 16:51

본문

반응형

21일, 한 매체에 출연한 노영희 변호사는, '김학의 사건'과 '故 장자연 씨 사건'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관해 설명했다.


공통점으로는, 사건의 본질과 진행 방법 그리고 재수사 과정을 꼽았다. 두 사건 모두 '성'과 '권력'이라는 요소가 사건의 본질이고, '부실 수사'로 사건이 전개됐다는 것이다. 또한, 사건의 재수사도 수사기관이 아닌 외부 즉, 국민청원과 대통령에 의해 그 동력이 얻어졌다는 면도 공통점으로 지적했다. 한편, 두 사건의 차이점에 관해서도 언급했는데 그 중, 주요한 부분만 간추려 본다. 



첫째, 경찰과 검찰, 두 수사 기관 사이의 이해관계에서 차이가 있다.

김학의 사건은 검·경 사이의 갈등이 있기 때문에 두 수사 기관의 이해관계가 서로 다르지만, 故 장자연 씨 사건은 검·경 사이의 갈등이 없는 사안이다. 따라서 검·경 두 기관 모두, 과거의 부실 수사 사건을 대하는 수사 기관으로서의 이해관계가 같다는 것이다.


두 번째로, 사건을 망치는 방법이 서로 다르다.

사건을 망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증거를 묻어버리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증거를 더럽히는 방법이다. 증거를 묻어버린 경우는, 나중에 다시 캐낼 수 있는 여지를 남기게 된다. 김학의 사건이 이 유형에 속하는데, 수사 기관이 묻혀있던 증거들을 파내면서 실체적 진실에 접근하고 있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반면, 故 장자연 씨 사건은 주요 증거가 너무 더럽혀졌다. 증거가 너무 더럽혀진 경우, 증거의 신빙성, 진실성 등을 의심하게 한다. 증거의 오염된 부분을 걷어내고자, 표백제를 넣어 깨끗하게 빨아버리면, 그 과정에서 증거 자체가 없어져 버리는 일도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증거가 오염된 사건은 수사 진행에 따르는 어려움이 많을 수밖에 없다. 기본적으로 검찰은 재판에서 유죄를 받아내는 게 목표이기 때문에, 확실한 증거가 있어야 하는데, 이런 상황에서는 검찰이 잘 나서지 않는다.


세 번째는, 가해자 특성에서의 차이다.




김학의 사건의 가해자는 과거 권력인데 반해, 故 장자연 씨 사건의 가해자들은 모두 현존 권력이다. 김학의는 박근혜 정부 시절에 법무부 차관이었고, 현재는 정부 고위 관료 신분이 아니다. 그러나 故 장자연 씨 사건의 가해자는 여전히 유력한 보수 매체의 관계자라는 것이다.


네 번째, 가해자의 대처방법에서 차이가 있다.

김학의 사건에서 가해자로 지목되고 있는 김학의, 윤중천 등은 각각 개별적으로 대처를 해왔다. 또한, 김학의 전 차관은 '윤중천을 모른다', '해당 별장에도 간 적이 없다'는 식으로 대처해오다가 최근 진술을 번복했다. 


김학의, 윤중천 모두 개별적으로 대처해오다가, 수사가 진전되는 과정에서 진술을 일부 번복했고, 별장 소유주였던 윤중천 또한 공범으로서 사건의 본류로 들어가게 된 것이다.


김학의 사건 가해자들의 대처가 개별적이었던 것에 반해, 故 장자연 씨 사건 가해자의 대처는 조직적이었다. 가해자와 관련된 유력한 보수 매체가 회사 차원에서 대책반을 만들어 조직적으로 수사 과정에 직·간접적으로 개입을 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피해자의 생존 여부이다.

피해자가 생존해 있다면, 피해자의 존재 자체가 증가가 될 수 있다. 김학의 사건의 피해자들은 피해 사실에 대해 진술하고 있고, 이것이 수사 진전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故 장자연 씨 사건의 경우는, 피해자의 진술, 증언을 들을 수가 없다는 것이 큰 차이점이고 안타까운 점이다.


노 변호사는, '제일 중요한 것은 무조건 살아남아야 한다. 아무리 억울하다 하더라도 살아남는 것이 결국에는 승리하는 거다'고 덧붙였다.


비교


아래에 있는 공감() 한번 만으로도 힘이 됩니다. 로그인하지 않아도 누구나 가능합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